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읽기38

[아티클 스터디] 23.12.15 [오늘의 아티클] 그 데이터는 잘못 해석되었습니다. [내용정리] 무엇이든 데이터가 있으면 쉽게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 같아 보이지만, 현업에서는 데이터가 있어도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상황들이 있다. 특히 가장 경계해야 할 점은 데이터를 잘못 해석해 잘못된 결론으로 가는 상황이다.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를 잘못 해석하게 되는 상황별 유형과 제대로 해석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소개한다. 1. 생존자 편향의 오류 전체 이용자를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라 일부 이용자를 기준으로 지표 분석을 하면서 잘못된 해석이 발생한 것이다. (기준 설정을 잘 했는지 검토) ex. 2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군은 전투기의 총탄 자국이 많은 곳을 보강해 더 튼튼한 전투기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했었다. 이때 통계학자 아브라함 왈드는 .. 2023. 12. 15.
[아티클 스터디] 23.12.14 [오늘의 아티클] 야 너도 GA 할 수 있어 1) GA를 배워야 하는 7가지 이유 [내용정리] 구글 애널리틱스(GA), 디지털 마케팅에 관심 있다면 한 번쯤 들어봤을 이름일 것입니다. GA는 비교적 다른 툴에 비해 사용법도 어려운 편입니다. 어려운 만큼 배워야하는 필요성에 대해 느낄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필요성 7가지에 대해 소개합니다. 1) 무료로 사용 가능한 툴 2) 가장 많이 쓰는 툴(로그 분석 툴 점유율이 70%) - 그만큼 교육자료도 상당한 수준 3) 로그 분석의 기본 개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4) 다양한 매체의 데이터를 하나의 기준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다. 5) 개발자가 아닌 마케터와 기획자를 위한 도구다. (기본 구성이 퍼널 분석이라는 이론에 맞춰 설계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마케.. 2023. 12. 14.
[아티클 스터디] 23.12.13 오늘의 아티클 : 데이터 분석가 되려면 SQL, Python, R 다 배워야 하나요? [내용 정리] ‘데이터 분석가가 되고 싶은데 뭐부터 공부해야 할까요?’라는 궁금증을 갖고 계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쓰신 글 데이터 분석가의 종류 크게 ‘인하우스 데이터 분석가’와 ‘컨설팅 데이터 분석가’로 나눠 볼 수 있는데요. 각각 데이터를 추출하고 활용하는 방식의 차이가 있다보니 요구되는 스킬도 달라요.. 인하우스 데이터 분석가 컨설팅 데이터 분석가 인하우스 데이터 분석가 컨설팅 데이터 분석가 정의 자체 앱, 웹 서비스를 운영하는 최사의 데이터 분석가 다른 회사의 의뢰를 받아 데이터를 분석하는 컨설팅 회사의 데이터 분석가 하는 일 자체 서비스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직접 뽑아 데이터를 분석 고객사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2023. 12. 13.
[아티클 스터디] 23.12.12 오늘의 아티클 : 생성형 AI시대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 용어 사전 1. 대형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 광범위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한 모델로 방대한 양의 언어 데이터를 학습하면서 인간의 글과 대화 방식을 받아들인다. 2.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 GPT는 인간의 언어 처리방식을 모방한 자연어 처리 분야의 심층 신경망 구조를 말한다. - 거대한 양의 언어 데이터를 학습한 이후에 인간의 방식으로 작문 혹은 대화할 수 있게 처리하는 것이다. 3. 매개변수(Parameter) - ChatGPT와 같은 서비스의 핵심 경쟁력은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답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질문에 관한 최적의 답변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정.. 2023. 12. 12.
[아티클 스터디]23.12.11 오늘의 아티클 : 기획자가 알아야 할 서비스 평가 지표 데이터 분석을 위해 기획자가 봐야 할 지표는 다양하다. 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이상 모든 지표를 기억하기란 어렵다. -> 현업에서 기획자가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지표를 소개 기획자로서 데이터 기본 지표를 안다는 것은 '어떤 데이터를 살펴볼 것인가'라는 질문의 첫 단추가 될 수 있다. 크게 서비스를 운영할 때 크게 3가지 맥락으로 설명, 제품(Product), 마케팅(AD), 비즈니스(Business) 1. 제품 관련 지표 1) DAU/WAU/MAU(DAY/ Week/ Monthly Active Users) 하루, 한 주, 한 달 동안 제품을 사용한 유저를 측정하는 지표 2) 리텐션(Retention) 고객 유지,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 2023. 12. 11.
[아티클 스터디] 23.12.07 오늘의 아티클 : SQL 가독성을 높이는 다섯 가지 사소한 습관 [내용정리] 남이 작성한 SQL이 아니더라도 과거의 내가 작성한 SQL이 현재의 내 발목을 붙잡는 경우가 있다. (예전에 작성한 SQL문을 나중에 다시 활용될 수도 있는 경우가 있기에) -> 그래서 가독성 있는 SQL 코드를 쓸 수 있는 5가지 습관에 대해서 CHECK 1. 예약어는 대문자로 쓰는 습관 - SELECT, FROM, GROUP BY, HAVING, AS, AND 등과 같은 예약어들을 대문자로 쓰는 습관 * SQL 에디터 중에서 예약어, 칼럼, 테이블 등 하이라이팅을 해주기 때문에 굳이 일수도 있으나 에디터마다 하이라이팅 규칙이 다르고 DB종류마다 함수들 이름도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대문자로 써주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함.. 2023.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