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아티클 : 데이터 분석가 되려면 SQL, Python, R 다 배워야 하나요?
[내용 정리]
‘데이터 분석가가 되고 싶은데 뭐부터 공부해야 할까요?’라는 궁금증을 갖고 계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쓰신 글
- 데이터 분석가의 종류
크게 ‘인하우스 데이터 분석가’와 ‘컨설팅 데이터 분석가’로 나눠 볼 수 있는데요. 각각 데이터를 추출하고 활용하는 방식의 차이가 있다보니 요구되는 스킬도 달라요..
인하우스 데이터 분석가 컨설팅 데이터 분석가
인하우스 데이터 분석가 | 컨설팅 데이터 분석가 | |
정의 | 자체 앱, 웹 서비스를 운영하는 최사의 데이터 분석가 | 다른 회사의 의뢰를 받아 데이터를 분석하는 컨설팅 회사의 데이터 분석가 |
하는 일 | 자체 서비스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직접 뽑아 데이터를 분석 | 고객사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를 분석 |
예시 | ‘당근’ ‘컬리’ ‘토스’ ‘쿠팡’ 등 | ‘나이스지니데이터’ |
- 취업의 길잡이 - ‘채용공고’
그렇기에 필요한 것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채용공고를 반드시 읽어봐야 해요. 채용공고는 회사가 이 포지션에 어떤 사람이 필요한 지를 가장 정확하게 정리해서 공유한 글이기 때문이죠.
- 인하우스 데이터 분석가 → 공통으로 SQL 스킬을 요구
- 컨설팅 데이터 분석가 - 통계분석도구(SAS, R, Python) 및 머신러닝 가능자’
> 인하우스 경우, 자체 데이터를 직접 뽑아서 분석까지 SQL을 사용
> 컨설팅 경우, 뽑아진 데이터를 받은 다음, 가공하고 분석하고 리포트**(시각화)**를 만들기에 용이한 Python이나 R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해요.
'아티클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티클 스터디] 23.12.15 (0) | 2023.12.15 |
---|---|
[아티클 스터디] 23.12.14 (0) | 2023.12.14 |
[아티클 스터디] 23.12.12 (0) | 2023.12.12 |
[아티클 스터디]23.12.11 (0) | 2023.12.11 |
[아티클 스터디] 23.12.07 (0) | 2023.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