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패턴, 소비자 입장에서도 판매자 입장에서도 주의할 부분인 것 같아서 읽어봤다.
[내용 정리]
1. 온라인 다크패턴이란
> 소비자의 착각 부주의를 유발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유도하는 행위 및 그러한 의도로 설계된 온라인 인터페이스를 뜻함
> 그러나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가이드가 없다보니, 마케팅 전략이라고 생각했지만 알고 보니 다크패턴에 해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 이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23년 7월 31일 온라인 다크패턴을 4개 범주 19세 세부 유형으로 구분한 '온라인 다크패턴 자율관리 가이드라인'을 발표
- 이 발표를 기점삼아 다크패턴 규제 문화가 자리잡아갈 것이라 예상
-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보장해야 함
2. 온라인 다크패턴 유형
1) 편취형
> 숨은 갱신
> 순차 공개 가격 책정
> 몰래 장바구니 추가
2) 오도형
> 거짓 할인
> 거짓 추천
> 유인 판매
> 위장 광고
> 속임수 질문
> 특정 옵션의 사전 선택
3) 방해형
> 취소, 탈퇴 등의 방해
> 숨겨진 정보
> 가격비교 방해
> 클릭 피로감 유발
4) 압박형
> 반복간섭
> 감정적 언어사용
> 시간제한 알림
> 낮은 재고 알림
> 다른 소비자의 활동 알림
[출처]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398/
이제 마케팅 아니고 ‘다크패턴’입니다 | 요즘IT
온라인 다크패턴이란 ‘소비자의 착각·부주의를 유발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유도하는 행위 및 그러한 의도로 설계된 온라인 인터페이스’를 뜻합니다. 그러나 ‘착각·부주의’라는 표현에서
yozm.wishket.com
'아티클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티클 읽기] 24.01.31 (0) | 2024.01.31 |
---|---|
[아티클 읽기] 24.01.30 (1) | 2024.01.30 |
[아티클 읽기][codestates] 마케터가 하는 일이란 (1) | 2024.01.23 |
[아티클 읽기][요즘it] 일상의 영감을 아이디어로, 스케치 활용법 (0) | 2024.01.22 |
[아티클 읽기][eo] 매버릭스 팀의 마케팅 고군분투기_래치드와 래피드 (1)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