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읽기

[아티클 읽기] 24.01.31

doo_ 2024. 1. 31. 09:23

0. 화장실의 브랜딩 : 업무분장의 함정 : LINK

> 브랜딩 업무는 기획단계부터 디자인, 실행, 회계까지 다양한 팀과 업무영역을 아우르기에 혼자 할 수 있는 수준의 업무량이 아니다. (또한) 정체성에 관련된 문제이니 모두가 각 영역에서 하나의 가지를 담당해야 한다.

> 업무분장 힘든 이유

- 방관자이론.. /  업무역량 제각각 / 누구 무슨 일을 하는 지 모르는 경우

- 커뮤니케이션을 잘 못 하는 경우 /  업무분장의 기준이 엉망

- 하던 사람이 계속하는 /  업무이해도 부족 / 편가르기, 편애, 미운털, 관계가 망치는 경우

> 업무분장할 때 몇가지 유의사항

1) 프로젝트 플랜을 짜고 각자 업무를 나누는 회의를 '잘' 하기

- 이때, 직원들의 성향파악 / 현재 업무 재정리 / 각자 업무속도 계산/ 보고체계 확립 / 상세 업무공유 / 개인별 목표설정 및 평가지표 설정 / 개인별 업무일정 짜기 / 취합 후 프로젝트 플랜시트 제작 및 피드백 등

2) 회의과정에서 정한 개인별 목표설정, 평가지표 미달성시 어떤 핸디캡을 받고 어떤 책임을 질 것인지도 명확하게 지정하는 것이 좋음.

- 방관자 방지, 합리화나 책임전가를 막고 외부요인으로 부터 그 핑계를 찾는 사태를 줄여줌

3) 업무량은 내 처리수준의 +15%, 데드라인은 항상 -1일

- 항상 내가 해결할 수 있는 한계치의 적당량 이상의 어려운 과제, 적당히 급한 데드라인의 선을 지키는 것이 중요

- 일의 속도감과 성취감은 '일을 끝냈다'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일을 해냈다'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

4) 열심히 회의하며 정한 것들에 대한 일관성

- 그렇게 1번 과정을 거쳤는데, 중간에 그걸 엎지 말아야 한다. 중간에 일이 들어오면 업무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거나 다시 전사회의를 거쳐 양해를 구하거나 다시 회의를 거쳐 전체플랜에 대한 수정을 공지하거나,

- 정보의 제한과 이해의 부족은 아주 사소한 실수와 그냥 던지는 작은 일조차도 '불신의 씨앗'으로 변하게 함

- 적어도 그 날 열심히 만든 그 회의 내용에 일관성과 고집이 있어야 추후에 평가, 책임, 보상 때도 신뢰감이 있는 것이다. 중간에 자꾸 바뀌고 일 틀어버리고 간섭하고 불필요한 과정을 삽입해서 보고를 위한 보고를 만들어내면 추후에 그 모든 책임은 다 관리자 본인이 져야 한다.

5) 모든 과정은 결과후에 복기한다

- 불만이 쌓이는 것은 무서운 일이지만, 그 불만을 그 때 그 때 터뜨리는 것도 업무에선 그리 좋은 방향이 아니다.

- 단, 일 하나가 끝나고 업무분장된 결과물이 등장하고 난 후에는 반드시 평가회의하는 것을 추천

 

> 업무분장, 정말 어려운 일.. 여러 사람들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서 배려할 부분은 배려하고 억압할 부분은 강력하게 억압해야 한다. 책임과 도전에 따른 보상과 벌도 있어야 한다. 납득할 만한 이해와 협의도 거쳐야 하며, 먼 발치에서 어떤 식으로 누가 무슨 일을 하는 지 확인도 종종 해야 한다.

> 회사와 비즈니스는 모두의 손을 거쳐 만들어지기에 과연 우리 회사엔 누구의 어떤 손길이 얼마나 닿아있는지 한 번쯤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의미가 있다.

 

1. 요즘 오프라인 마케팅 트렌드 ‘장터 콘셉트’가 대세야?

> 아무개씨의 만물장터 팝업스토어

- 행운 굿즈 매대를 돌림판으로 구현한 것이 인상깊었다

> 핍스마트

> 당근x시몬스 이색 알바

2. 새해 Z세대가 주목한 국내외 일 잘한 레퍼런스

> CU 자체 앱 '포켓CU'에서 진행한 '내맘대로 어워드'

> 어뮤즈가 선보인 '커스텀 키링 케이스'

> 일본오츠카제약, 아이돌 광고

3. 구글의 혁신은 이렇게 탄생합니다 (ft. 서클 투 서치) 

> 서클 투 서치, 멀티 서치가 마케팅에 미칠 영향

- 영상/이미지 형태의 콘텐츠 증가

- 달라질 PPL의 톤앤매너

- 중요햐진 숏테일 키워드

- 이미지도 SEO(검색엔진최적화)

- 장기적으로 메타데이터 검토

> "각 분야에서 혁신을 이어나가는 두 브랜드는 10년 후를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요? 마케팅 분야 역시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상기해봅니다."

> "그냥 해야되니까, 남들이 하니까 따라 하는게 아닌 Why가 분명한 여러분 만의 마케팅 스토리를 만들어나가는 마케터가 되시길 응원합니다"

 

4. 쇼핑객의 ‘충성도 리셋' 현상이 브랜드의 수익 창출과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는 이유

> 소비자는 더 이상 하나의 브랜드에 변함없는 충성도를 보이지 않음. 최근 소비자 연구에 따르면 한 가지 판매 채널이나 브랜드만을 이용하지 않는 충성도 리셋 현상이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음

- (그러나) 현명하게 대처한다면 브랜드는 오히려 지속적인 수익과 비즈니스 성장 기회를 얻을 수 있음

> 충성도 리셋 뒤에 숨겨진 고객의 니즈를 이해하고 충족해야 함

- 신뢰의 전환 : 신뢰받는 플랫폼에 신뢰 단서를 노출

- 다양한 채널에서 브랜드 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