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읽기

[아티클 읽기][codestates] 마케터가 하는 일이란

doo_ 2024. 1. 23. 10:53

마케터에는 어떤 직무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싶어서 정리해봤다.

[내용정리]

1. 마케터 직무 종류와 하는 일

> 콘텐츠 마케터

- 잠재 고객을 획득할 수 있는 가치 있고 유용한 콘텐츠를 기획, 배포하는 직무

- 회사가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블로그, SNS 채널 같은 온드미디어(Owned Media)에 브랜드 및 프로덕트에 대한 설명과 스토리를 글,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만들어 배포

- 창의적인 콘텐츠 기획과 제작 경험, 콘텐츠 반응을 데이터로 분석하고 검증하는 능력, 채널별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하는 역량 등이 필요

> 퍼포먼스 마케터

- 목표, 예산, 타깃에 따라 광고를 운영하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과를 최적화하는 직무

- 광고 소재를 만들고 채널과 예산 운용 전략을 짜고 여러 데이터를 분석해 광고 성과를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기까지 과정

 

> 브랜드 마케터

- 브랜드의 상품 라인을 구성하고 커뮤니케이션 방향성을 설계하며 중장기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직무

- 거시적으로 회사 자체 혹은 핵심 브랜드를 알리기 위해 전략을 짜는 일

- 톤앤매너, 핵심 메시지 수립, 온라인과 옥외 광고, 오프라인 행사 등을 기획하고 진행하기도 함.

- 캠페인 기획, 네이밍, 카피라이팅, 제품 출시 및 브랜드 개발 역량이 필요

- 평균적으로 경력자가 채용에 유리하다보니 콘텐츠, 퍼포먼스 마케터 등으로 경력을 쌓은 후 도전하는 것이 유리한 직무

 

> 그로스 마케터

- 비즈니스의 북극성 지표를 발굴하고 가설-실험-검증을 반복하여 지표를 개선하고 성장을 이끄는 직무

- 고객이 브랜드나 제품을 처음 만나 구매까지 고객 여정의 전체 과정(풀퍼널)을 지켜보면서 모든 것을 설계하고 그대로 고객이 행동해 비즈니스의 궁극적인 목표, 매출이 늘어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 마케팅 풀퍼널에 대한 이해, 데이터 기반의 문제해결 능력, 가설 도출, 빠른 실험 및 개선 최적화 경험 등의 역량이 필요

 

2. 마케터 필요 역량

- 자기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협업 및 의사소통

- 고객 관점의 문제 해결

- 비즈니스 이해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 전략적 예산 설계

- 크리에이티브 전략 수립

 

3. 마케터 취업 준비

> 매체를 통한 인사이트 얻기, 공모전 찾아 도전해보기, 케이스 스터디 해보기, 자격증 준비 등

> 포트폴리오

- 나를 표현하는 하나의 메시지(셀프 브랜딩)

- 나를 채용하는 사람이 궁금해할 만한 정보를 핵심적으로 담아내기

(프로젝트에서 어떤 경험을, 어떤 역할을, 어떤 문제 해결과정을, 어떤 성과를, 앞으로 어떤 길을 걷고 싶은지 등) 

 

4. 인하우스와 에이전시(대행사)

> 인하우스 마케터

- 자체 브랜드가 있는 회사 소속의 마케터로 자사 브랜드와 제품만을 관리

- 전체 마케팅 전략 수립을 하고 다양한 데이터로 마케팅 풀퍼널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가능

> 에이전시 마케터

- 여러 광고주의 다양한 마케팅 성과를 대신해 만드는 역할.

- 단시간에 여러 도메인의 마케팅을 경험할 수 있다. 

 

[출처] https://www.codestates.com/blog/content/%EB%A7%88%EC%BC%80%ED%84%B0-%EC%A7%81%EB%AC%B4-%EC%84%A4%EB%AA%85%ED%9A%8C1

 

[마케터 직무 설명회] 마케터가 하는 일의 모든 것 | 직무 종류, 취업 준비 방법 등 - 코드스테이

코드스테이츠 그로스 마케팅 부트캠프는 마케터 취업과 커리어 전환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마케터 커리어톡’ 웨비나를 2일간 열었습니다. 1일차 커리어톡에서는 마케터가 하는 일의 모든

www.codestat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