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읽기][eo] 매버릭스 팀의 마케팅 고군분투기_래치드와 래피드
어떠한 방법들을 통해 목표를 향해 다가갔는지 그 과정을 배울 수 있어 좋았다.
[내용 정리]
- 3명이서 햇수로만 따지면 3년차이지만, 그동안 7번의 피봇을 겪어 올해 '래치드'와 '래피드'라는 제품을 만들어 정착한 팀.
- 제대로 된 투자를 받은 적이 없다보니 항상 작게 시작하고 최대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민
> 래치드(2023.04 ~ 현재)
- 커뮤니티를 만들고, 관리하고, 성과를 측정하기 용이하게 만든 SaaS제품
- 커뮤니티 빌딩 툴, 커뮤니티용 슬랙, 네이버 카페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움
[ 목표: 1) 잠재 고객 모으기 2) 지속적인 서비스 노출 및 경험 3) 유료 고객 전환 ]
step 1. 잠재 고객 모으기
1) 오픅카톡방
- 서비스를 만들기도 전에 커뮤니티 개설하여 잠재 고객을 모으고 그들의 니즈를 파악하고자 함
- 커뮤니티 빌더 분들을 인터뷰하며 얻은 팁을 활용해 온보딩 가이드, 운영 메뉴얼 등 기본 사항 세팅
-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 추구했기에, 입장하신 한분 한분에게 집중하는 전략
> 커뮤니티 운영 쉽지 않지만 꾸준함을 발휘했을 때 진짜 '찐팬'을 만들 수 있는 길인건 확실
2) 뉴스레터 발행
- 커뮤니티의 성장 속도를 높이려면 콘텐츠를 통한 유입이 가장 강력하다 판단
- 여러 콘텐츠 아이디어를 놓고 빠르게 검증해 가장 잘 먹히는 주제 1가지를 픽스해, 해당 방향으로 계속 후킹한 콘텐츠 제
- 레피츠의 경우 '커뮤니티 기반으로 성공한 비즈니스 분석 글'
3) 오프라인 행사
- 초반엔 북클럽을 오픈했고, 용기를 얻어 네트워킹, 세미나, 아웃풋 공유회 등 주기적 행사를 오픈
- 매번 오프라인 행사를 할 수는 없었기에 온라인 단체 커피챗 등 간편하면서도 최대한 접점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고안
4) 다른 커뮤니티와의 콜라보
- 다른 커뮤니티의 신청을 받아 콜라보레이션 행사를 엶
- 행사는 여러 번 진행해도 어려운데, 모집이나 금액적인 부담을 덜어줌
step2. 지속적인 서비스 노출 및 경험
> 커뮤니티 빌딩 툴 완성시키면서, '래치드 커뮤니티'로 사람들을 어떻게 유입시면 좋을지 고민
1) 앰버서더 프로그램 운영
- 평소 오픈카톡방 내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다양한 운영 경험이 있으면서 인사이트풀한 글을 잘 써주실 공급자 5분을 섭외해 한 달간 콘텐츠 생산을 부탁
- 운영진 콘텐츠의 한계를 보완해줌
2) 플레이북/ 리포트 발행
- A to Z를 알려주는 '커뮤니티 운영 플레이북'과 국내 최초 '커뮤니티 활동/빌더 리포트'를 직접 조사해 발행
- 래치드 툴로 만든 새 커뮤니티, 콘텐츠를 통해 노출도는 많이 상승했지만 여전히 가입자 전환이 고민, 좀 더 강력한 전환 유도 장치가 필요하여 다운받고 싶어지는 매력적인 플레이북과 리포트를 만들고 가입자 한해서만 읽을 수 있도록 설정
> 래피드(latpeed) (2023.08 ~ 현재)
- 래치드에서 파생된 서비스로 1인 비즈니스, 프리워커, 크리에이터 등이 이벤트, 스터디, PDF 등 자신만의 상품을 간편하게 판매할 수 있는 서비스, 사업자 없이도 카드 결제가 가능하며, 업계 최저 수수료를 부담 없이 사용 가능
[목표: 1) 서비스 일단 경험 2) 가입 및 페이지 개설 3) 상품 판매]
step1. 서비스 일단 경험
1) 커피챗 자판기
- 500원 내면 자판기에서 우리 중 원하는 팀원을 골라 1:1 커피챗을 뽑을 수 있다는 컨셉
- 최대한 참여 허들을 낮으면서 사람들이 원하는 것 그리고 좀 더 신박한 접근 방법을 고민한 결과
- 단순히 저희 서비스 오픈했다고 알리는 것보다 다른 방법을 통해 어떻게든 사람들이 이 서비스를 경험해 보도록 하고자
2) 스스로 헤비 유저가 되어 팔 수 있는 건 다 팔아보기
3) 내 서비스를 나보다 더 잘 파는 인플루언서와 네트워킹 열기
4) 완전히 분리된 계정으로 부캐 키우기
step2. 가입 및 페이지 개설
1) 200% 맞춤형으로 콜드 메일 보내기
- 서비스 경험을 유도하는 것도 좋지만, 결국 실질적 목표는 서비스 유저를 모으는 것
step3. 상품 판매
1) 신청 고객 분들께 연말 선물 + 손편지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