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읽기] KPT 회고에 관하여
[ 내용 정리 ]
1. KPT 회고
KEEP, PROBLEM, TRY의 약자로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여 프로젝트가 끝날 때 팀 구성원들끼리 회고를 진행한다는 것이다.
> Keep
-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 계속 이어갔으면 하는 부분
> Problem
-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
-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
> Try
- problem에 대한 해결책
- 다음 회고 때 판별 가능한 것
- 당장 실행가능한 것
2. KPT 회고 목적
> 짧은 시간에 모든 구성원의 생각을 공유하고 실행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Action을 도출하기 위함
3. KPT 회고는 언제 필요한가?
- 언제 필요한지 팀마다 필요성이나 주기가 다를 수 있기에 언제가 적절하다고 정의할 수는 없다.
> 분업이 확실히 되고 있는 상황(4명 이상)
> 성장이 더딘 상황
> 면담으로 한계를 느끼는 상황
> 협업의 방식에 의문을 제기할 때
4. KPT는 왜 해야 하는가?
> 결국 성장을 위해서는 팀원들이 일을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 회고 자리에서는 모두가 평등하고, 투명하게 의견을 말할 수 있어야 한다.
- 단 정치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어 목적과 다르게 변질된다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KPT 사례 : 팀 문화의 탄생_우아한 형제팀
[출처] https://brunch.co.kr/@jinha0802/35
KPT 회고란 무엇인가?
스타트업에서 KPT 회고는 언제 필요하며, 왜 해야 하는가? | 1. KPT 회고란? KPT회고는 다양한 회고 방법론 중 하나이다. Keep, Problem, Try의 약자로 회고 내용을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여 회고를 진행
brunc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