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파르타코딩클럽]데이터분석 과정/TIL&WIL

[TIL] 23.12.27

by doo_ 2023. 12. 27.

 

[오늘 한 일]

1. SQL 코드카타 문제 풀기(9문제)

> 쉽다 생각해서 쉬운 난이도는 얼른 해치울려고 했는데, 중간에 막혀서 내용 정리하다보니 9문제까지만 풀게 됐다 ㅎㅎ,,

- ROWNUM / FETCH 함수

- 정규표현식

- SUBSTR, INSTR

>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도 좋지만, 간단한 SQL문을 작성하기 위한 고민을 많이 할 필요성을 느꼈다.

 

+) 74번 이해가 부족했던 부분 이해

> 조건에 해당하는 id를 추출하는 것과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id들이 아닌 id를 추출하는 것의 차이를 이해

 

2. SQLD 자격증 대비반 15~16주차 다시 풀어보기

- 후반부 내용은 반복해서 봐야할 듯 하다. 우선은 앞 내용 먼저 이해하기.

- 후반부는 내일 다시 보기,,

 

3. SQL 복습_ (내일 오전에 하기)

- 수업자료를 다시 보며 놓친 부분이 없는지 확인했다.

- PIVOT TABLE 복습

 

4. 아티클 읽기 _  [알아두면 쓸데있는 데이터 모델링 (1)(2)(3)(4)]

> ABOUT 정규화 / KEY / ER모델

 

5. 도서

- 데이터 문해력 (4장)

> 목적 가설을 명확히 했다면, 그 다음은 여러 각도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양한 원인들을 분석해서(그 관계성을 통해)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지속적으로 생각하는 것.

> 관계성을 파악할 때, 항상 데이터 중심적 사고가 아닌지 고찰할 것. 데이터 안에 답이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EX. 홈페이지 업데이트 빈도와 방문객 수 상관관계 ->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만약에 유명 블로거의 언급으로 방문객 수가 늘었을 수도 있다. 

> 어떻게든 결과를 값으로 나타내려다가 수단과 목적이 뒤바뀌지 않도록 주의

- 데이터 문해력 (5장)

> 설득을 위해선 전체적인 흐름과 논리성이 있어야 한다.

> 문제 - 원인 - 해결 방안

> 해결 방안은 문제에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원인에 적용하는 것.

> 느닷없이 문제만 보고 바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참시한 아이디어일 수 있다. 하지만 문제와 관련성이 부족하거나 비약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렇기에 문제를 잘 정의하고 원인을 잘 파악한 후에 해결방안을 고민하자.

> WHY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자.

- 통계 101 X 데이터 분석(5장)

> 가설검정에 관하여,

- Information Graphics(3장)

> 다양한 척도(증감률, 주요 주가 지수)가 그래프에 쓰이는 상황에 대해 소개

+) 스틱(1장_스티커 메시지 원리 1. SIMPLICITY)

메시지는 간결해야 한다 = 본질적인 핵심 내용만 담겨져야 한다. 핵심을 흐리지 않게 해야 한다.

"완벽함이란 더 이상 보탤 것이 남아 있지 않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뺄 것이 없을 때 완성된다." By 생텍쥐베리

 

+) 질문방을 잘 안 봤었는데, 임정 튜터님의 열정에 감사함을 느꼈다.

 

+) 어제보다는 집중해서 공부해서 좋았다. 오늘은 계획한 것을 완수하지는 못했다.

내일은 어제의 나보다 더 나아가자.

'[스파르타코딩클럽]데이터분석 과정 > TIL&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3.12.29  (1) 2023.12.29
[TIL] 23.12.28  (2) 2023.12.28
[TIL] 23.12.26  (2) 2023.12.26
[WIL] 1주차  (0) 2023.12.22
[TIL] 23.12.22  (0) 2023.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