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컬러맵 설정하기
> plt.
- spring(), summer(), autumn(), winter(), viridis(), plasma(), jet(), nipy_spectral()
2. 컬러바 설정하기
> plt.colorbar()
3. 텍스트 삽입
> text(x, y, ' text', fontdict = {}, bbox = {})
4. 그래프 스타일
> plt.style.use()
- 'default', ‘bmh’, ‘ggplot’, ‘classic’, ‘Solarize_Light2’
> plt.rcParams[ ]
- 'font.size' , 'figure,figsize', 'family.font', 'lines.linestyle' 등
5. 그래프 저장할 때, 꾸미기
> dpi : 해상도 / facecolor : 이미지 배경색 / bbox_inches : 박스 영역 설
plt.savefig('savefig_default.png', dpi = 100, facecolor = '',edgecolor = '', bbox_inches = '')
6. 축 위치 조절하기
> ax.spines().set_position()
> ax.spines().set_visible()
7. 이중 y축 표시
> twin() 사용
fig, ax1 = plt.subplots()
ax1.plot(x, y1, color='green')
ax2 = ax1.twinx()
ax2.plot(x, y2, color='deeppink')
'[스파르타코딩클럽]데이터분석 과정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코드카타] 55 ~ 57번 (프로그래머스) (1) | 2024.01.23 |
---|---|
[Python 코드카타] 52 ~ 54번(프로그래머스) (0) | 2024.01.22 |
[Python][matplotlib] 선 종류, 색깔, 마커표시 기본 정리 (0) | 2024.01.20 |
[Python][matplotlib](2) 다양한 그래프 유형 (0) | 2024.01.20 |
[python][matplotlib](1) 시각화 기초 세팅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