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읽기

[아티클 읽기] [EO]'열심히 하지 말고 잘해봐..'(일잘러는 바닷물을 끓이지 않는다)

by doo_ 2024. 1. 9.

[내용 정리]

> 우리는 열심히만 하지 맑로 똑똑하게 해야 합니다. 우리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있고, 자원을 아껴서 다른 일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바닷물을 끓이지 않아야 하는데,

1. 바닷물 끓이기란? (윌 로저스, 마크 트웨인, 루이스 캐롤 중 누군가가 처음 사용했다는 말)

> 불필요하게 많은 작업을 하거나 일을 복잡하게 해결하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

- 바닷물 끓이기란 불가능한 일

> 우리가 마주하는 많은 문제에서 위와 같은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우리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벗어난 문제가지 해결하려 하기 때문이다.

2. 바닷물을 끓이는 2가지 상황

1) 미리 상황을 분석을 하지 않은 경우 (우선 시작해 보면 답이 나올 것이라 기대를 하는 경우)

> 무작정 시작하는 것은 목적지를 정하지 않고 길을 걷는 것과 같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게 된다.

2) 너무 세세하게 파고드는 경우(작은 부분에 집중하는 경우)

> 완벽하게 해내겠다는 일념으로 접근하면 끝이 없다.

> 우리는 문제 상황에 필요한 부분만 파고들어야 한다.

3. 바닷물을 끓이지 않는 3가지 방법

1) 목표가 먼저임을 인지

> 우리는 주어진 시간 내(한정된 자원)에 / 수행 가능한 범위(할 수 있는 범위)를 넘지 않은 채 / 일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

> 목표에서 벗어나는 너무 세세한 사항인 부분 / 해당 부분을 살피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경우 / 전체에 끼치는 영향력이 미미한 경우에 크게 신경쓰지 말 것.

2) 범위를 좁혀라 'Scoping'

> 범위를 좁히고 영역을 분리하여 우선순위를 정해 단계적으로 차근차근 완료해 나가는 것.

> 영역을 분리할 때, 영역(마일스톤)과 영역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고 있는지 확인

3. 계속 돌아봐라.

> 진행 상황을 보며 지금 하고 있는 것이 목표에 도움이 되는지를 계속 확인할 것

- 이를 위해서는 목표와 마일스톤(잘 잡힌 기준)을 잘 잡아야 한다.

 

일을 효율적으로하는 그날까지.. 👊

[출처] https://eopla.net/magazines/10107

 

'열심히 하지 말고 잘해봐..' (일잘러는 바닷물을 끓이지 않는다)

'열심히 하지 말고 잘해봐..' (일잘러는 바닷물을 끓이지 않는다) 자원을 아끼고 똑똑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열심히' 라는 단어는 마법의 단어 같습니다. 어떤 표현이든 ‘열심히’라는 단

eopl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