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o_ 2023. 12. 28. 20:30

[오늘 할 일]

1. SQL 코드카타 (5문제)

> HackerRank... oracle을 쓰는데 문법이 맞아도 실행이 안 되고.. 정규표현식도 안 돼서,, 140번 부터는 MySQL사용

> 가볍게 넘어갔었던 정규표현식 좀 더 익숙해지기 : RegexOne (Lesson1 ~ 14까지 맛보기)

> 정규표현식 나 나름의 정리 : here

2. 엑셀보다 쉬운 SQL 복습 

- PIVOT TABLE 이해

3. 아티클 읽기

https://datarian.io/blog/qna-data-jobs

> 대학원 가야 할까요?에 대한 답변

> 좋은 회사를 고를 때 어떻게 고르면 좋은지?에 대한 답변

https://datarian.io/blog/qna-data-analyst-skill 

> 취준생들의 질문들을 볼 수 있었다.

 

4. 도서

1) 데이터 문해력 (6~8장)_完

> (마지막 단계에서) 결과가 아닌 '결론'을 말해야 한다.

> 결과는 계산과 분석을 해서 나온 결과물일 뿐 / 결론은 그 결과가 목적에 대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하는 것.

하지만 '대부분 결과만 말하는 문제'를 저지른다.(정답 위주 교육의 현실)

ex. - 분석 결과 a인 경우가 방문이 많다. - 결과

ex. - a인 경우가 방문 횟수 증가에 효과적이다 - 결론

> 데이터를 통해 우리는 '정답을 맞추는 것'이 아니다. '어떤 결론이 적절한지'를 보는 것이다.

> '데이터 중심 사고'가 아닌 '목적 중심 사고'를 가지자.

> 데이터는 어디까지나 도구에 불과하다. 그 도구는 논리적 사고라는 기반이 있어야 비로소 활용할 수 있다.

2) 통계101 & 데이터 분석(6~7장)

> 다양한 가설검정 방법(t검정, 분산분석, 다중비교, 카이제곱검정 등)

> 상관과 회귀

- 바로 이해하기는 어려워서😵‍💫, 1회독은 전체적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맞주려고 한다... 

3) 월스트리트 저널 인포그래픽 가이드(5장)_完

> 차트로 계획 세울 때 사용 예시(조직도, 업무 흐름도, 프로젝트 타임라인 , 진척 보고 등)

+) 스틱(2장_ 원리2. 의외성)

-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패턴(이렇게 될 거라 예측하는 그런 도식)을 파괴하는 것'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기 떄문이기에 두뇌는 변화에 민감하도록 만들어졌다)

- 스티커 메시지에는 '놀라움'(관심을 불러일으키고)과 '흥미'(관심을 지속시킨다)의 감정이 들어가 있다. 

 

[]

- '데이터 문해력' , '인포그래픽 가이드' 앞으로 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한 기반으로 좋은 책들인 것 같다. 하나는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프로세스를, 하나는 데이터를 시각화할 때다. 아무래도 1회독으로 완전히 이해하기엔 부족해서 2회독을 하며 차근차근 이해하려고 한다.